본문 바로가기

멜뀌아데스의 창고/영화

내게 자리가 있다면 내게 와줄건가요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내게 자리가 있다면 내게로 올 건가요? 

 

 

 

  

 

 

 

 

 

나는 어린 시절 양조위를 좋아했다.

이상형이었다.

그가 나온 영화들을 많이도 봤다.

처음 그를 본 영화는 <해피투게더>

당시 국내 상영불가 판정을 받았었다. 나는 고등학생이었고

우연히 영화제인지에서, 광주 고딩이던 나는 그 영화를 꼿발 딛고 봤다

고 기억하고 있다.

상영불가라서 극장에는 사람이 넘쳐났고

앉기는 커녕, 서서 사람들 틈 사이에서 겨우 그 영화를 봤는데

그날 밤 정말 그 영화 생각만 했다.

무슨 내용인지도 잘 모르겠는데, 계속 생각이 났다.

뿌연 흑백화면 속 이과수폭포라든가 하는 장면들이

의미의 연결도 없이 머리속에서 맴돌았다.

첫사랑 같은 일이다.

그때는 몰랐는데, 이제와 생각해보면 정말

첫사랑처럼 그 영화가 왔다.

 

이후 왕가위 영화를 찾아보며

지루한 고등학교 생활의 활력소를 찾아냈다.

비디오테입을 돌려서 중경삼림, 아비정전, 동사서독을 계속 봤다.

이해할 수는 없지만

이해하고 싶은 어떤 정서

가 그 안에 있었다.

아니, 분명 나도 느끼는 건데

어른이 되면 더 선명해지는 무언가가 그 화면에서 꿈틀대고 있었다.

 

90년대에 청소년기를 보낸 나는

어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

무라카미 하루키와 왕가위와 엑스파일을 통해 배웠다.

 

화양연화는 내가 본 왕가위의 마지막 영화다.

그뒤로 몇 편 더 그의 영화가 나왔지만

내게 어른이라는 게 얼마나 쓸쓸할 수 있는지

얼마나 자기가 할 말을 다 못하고 사는지

그런 채로 사는 게 삶이라고 알려준 영화의 마지막은

화양연화였다.

말하자마자

양조위가 앙코르와트 사원에서 나뭇잎을 덮던 장면이 떠오른다.

 

 

며칠 전 집 앞 천변을 지나가다

피자 가게에서 틀어놓은 비디오에 양조위가 나왔다.

내 이상형이었던 남자다

라고 생각한 뒤

이 대사가 떠올랐다

 

"내게 자리가 있다면 내게로 와줄건가요?"

 

화양연화에서 장만옥의 대사

따라할 수는 없지만

장만옥이 했던 중국어 특유의 그 억양까지도 기억하고 있다.

음악에도 나와서인지도 모르겠다.

(왕가위는 음악을 선곡하는 천부적인 재능이 있다.

아마도 아마도 아마도...)

 

"내게 자리가 있다면 내게로 와줄건가요?"

 

이제 그 말을 왜 혼자 하게 되는지 알 수 있게 되었다.

 

올해는 앙코르와트에 가야겠다.

'멜뀌아데스의 창고 > 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정말 우물이 있었을까_이창동, 버닝  (0) 2018.05.28
무드 인디고  (0) 2014.12.31
오차장이 대단한 사람인 이유_미생  (0) 2014.12.05
제8요일  (0) 2014.11.15
정직한 영화_부당거래  (0) 2014.11.15